전체 글18 deque(collection) Deques support thread-safe, memory efficient appends and pops from either side of the deque with approximately the same O(1) performance in either direction. Though list objects support similar operations, they are optimized for fast fixed-length operations and incur O(n) memory movement costs for pop(0) and insert(0, v) operations which change both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underlying data r.. 2020. 12. 12. is vs == 파이썬에서 is를 사용할 때는 비교 대상이 같은 객체를 가리킬 때 True가 된다. 같은 객체를 가리킨다는 건 결국 두 객체는 같은 메모리 주소에 위치한다는 말이고, 그 말은 가령 a = [1,2,3] b = a 로 할당을 했을 때, b[0] = 4로 변경하면 a[0] = 4로 변경된다. 하지만 동일한 값을 갖는 객체라도 객체 자체가 다르다면.. 가령 위의 a를 c = list(a) 로 새로운 리스트 객체를 만들어서 사용한다면 a와 c는 다른 주소에 저장될 것이기 때문에 a is c 가 false가 될 것이다. 하지만 == 는 내부의 값들을 비교해서 같으면 True를 반환하기 때문에 a == c가 된다. 아마도 코드 흐름에서 앞에서 객체를 만든 후 뒤에서 그 앞에서 만든 객체가 맞는지? 확인할 때 쓸 수.. 2020. 12. 12. Dictionary changed size during iteration(feat. defaultdict) 상황: for loop에서 딕셔너리를 iteration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dict.keys() 사용했습니다. 그런데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구글링을 해본 결과.. 1. keys는 iterable을 반환한다고 합니다. 즉, iteration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iterable의 크기가 변경이 되면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구글링한 대부분의 케이스에서는 iteration을 하는 중에 pop을 하는 과정 혹은 key를 제거하는 로직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저는 그런 로직은 없었습니다. 한 가지 제 케이스가 특이했던 부분은 defaultdict를 dictionary로 사용했던 점입니다. defaultdict는 key가 있으면 그 key에 대해 operation을 수행하고, 없으면 지정한 defa.. 2020. 12. 5. 상태 코드 400 vs 409 vs 412 vs 422 400은 Bad Request. 즉 요청이 잘못된 경우입니다. 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HTTP/Status/400 400 Bad Request The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400 Bad Request response status code indicates that the server cannot or will not process the request due to something that is perceived to be a client error (e.g., malformed request syntax, invalid request message fr developer.mozilla.org 이 경우는 서버가 클라이언트.. 2020. 11. 22. Status Bar 색 변경하기(feat. Native Base) 리액트 네이티브에서는 특정 화면 혹은 전체 앱에서 상태 바에 대한 색상을 변경시킬 수 있는 컴포넌트를 제공하고 있다. https://reactnative.dev/docs/statusbar React Native · A framework for building native apps using React A framework for building native apps using React reactnative.dev 사실 매우 간단한 부분이다. 이런 식으로 넣어주면 끝이다. 하지만 Native Base UI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때 적용이 안되서 약간의 삽질을 해서 글을 남겼다. https://nativebase.io/ NativeBase | Essential cross-platform UI componen.. 2020. 2. 28. Modal 만들기 사진과 같이 아이콘을 클릭했을 때 모달이 뜨는 걸 직접 만들어봤다. 이전까지는 Bootstrap이나 UI KIT을 사용하곤 했는데 직접 만드는 것도 생각보다 어렵진 않았다. 준비물: CSS 1. 화면 전체를 덮을 컨테이너가 필요하다. 내 경우는 styled-components(https://styled-components.com/)를 사용해서 코드가 이렇게 나왔지만 css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전체를 덮기 위해 width와 height를 100%로 주었고, position을 fixed로 넣었다. 뒤에 약간 투명하게 페이지가 보여야 하기 때문에 z-index와 background-color를 약간 검은색으로 넣어 주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background-color를 그냥 주고 opacity를 .. 2020. 2. 6.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